Network/old13 패킷의 구조 Ethernet (링크 계층)TCP/IP 5계층의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이더넷은 mac 주소를 통해 송수신지를 식별한다. 이더넷 프레임 헤더는 Destination(6byte), Source(6byte), Type(2byte)로 총 14바이트 길이로 구성되며,구성은 아래와 같다. Destination MAC Address- 수신지(목적지)의 MAC 주소. Source MAC Address- 송신지(발신지)의 MAC 주소. Type- 이더넷 상위 계층의 데이터 타입.- 주요 Type별 코드 0800 : IP 86DD : IPv6 0806 : ARP 0835 : RARP +)사실 최종적으로 프레임은 헤더와 페이로드 외에 Preamble(8byte)과 FCS(4byte)가 추가.. 2023. 5. 7. 패킷 지연의 종류 1. 처리 지연 - 패킷 헤더를 조사해서 어느 방향으로(포트로) 내보낼지 결정하는데 걸리는 지연.2. 큐잉 지연- 큐에 저장되어 전송을 기다리는 시간- 가장 중요한 지연으로, 전체 지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패킷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무작위로 도착하며, 스위치, 라우터는 전달받은 패킷을 도착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함. * 패킷 손실큐잉 지연이 극대화되어 라우터, 스위치의 큐가 가득 차면 이후에 추가로 들어오는 패킷은 버려지는데, 이것이 패킷 손실.TCP는 이러한 패킷 손실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함으로써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함.(누적 ACK 수신 혹은 timeout에 따른 재전송)3. 전송 지연 - 회선의 전송률보다 패킷의 크기가 클 경우 발생하는 지연 ex) 회선의 전송률이 10m/s인데.. 2023. 5. 7. 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 TCP/IP 4계층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의 기능중 하나는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이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이란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고, 순서대로 도착함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TCP의 동작 방식으로 Stop-and-Wait, Go-Back-N, Selcetive-Repeat가 있다. Stop - and - WaitSender가 패킷을 하나 보내고 대기한 뒤, 응답(ACK)을 수신하면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지난 포스트의 rdt 3.0이 정확히 Stop-and-Wait 방식으로 분류된다.https://debuggingworld.tistory.com/43 FSM으로 표현한 rdt전송 계층에서의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rdt)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FSM을 이용하여.. 2023. 4. 16. rdt 요약 시나리오 rdt 1.0rdt 1.0은 하위 채널이 완전히 신뢰적이라 가정한다.Sender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 하위 채널로 전송한다. Receiver는 하위 채널로부터 패킷을 전달받으면 패킷에서 데이터를 추출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즉, Sender와 Receiver는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것 외에 하는 동작이 없다. rdt 2.0rdt 2.0부터는 하위 채널에 비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한다.비트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은 패킷이 손상된다는 의미다. Sender는 Receiver가 패킷의 비트 오류를 검증할 수 있도록 패킷에 checksum을 추가해서 전송한다. Receiver는 수신한 패킷에 대해 정상 패킷이면 ACK, 손상된 패킷이면 NAK를 Sender.. 2023. 4.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