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4 Python 응용문제 - 소수 판별 및 응용 프로그램 소수는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밖에 없는 수를 말한다. 파이썬 반복문을 활용해 입력받은 수가 소수인지 판별하는 프로그램과 몇 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사실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방법은 단순하다. 2부터 자기자신까지 전부 나눠보면 된다. 반복문으로 구현하면 간단하다. n = int(input("숫자 입력>> ")) i = 2 while n % i != 0: i += 1 if i == n: print("소수입니다.") else: print("소수가 아닙니다.") while문은 n이 i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동안 i를 1씩 더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i는 계속 1씩 증가하다보면 언젠가는 n과 같아지게 되고, n은 반드시 자기 자신과는 나누어 떨어지므로, while문은 아무리 많이 돌아도 .. 2023. 1. 1. Python 응용문제 - 최대 최소값 구하기 이번에는 파이썬으로 최대, 최소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본다. 단, 반복문은 사용하지 않는다. 사실 최대, 최소값을 구하려면 반복문을 사용해야 한다.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정해진 개수의 데이터만 입력받아야 한다. 3개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프로그램을 작성했다면 그 프로그램은 3개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최대,최소를 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는 이유는 최대, 최소를 구하는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다. 이 원리를 이해하고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면, 프로그램에 주어지는 조건이 달라져도 어렵지 않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받는 데이터의 개수가 가변적이라면 여기서 작성한 로직을 반복문과 함께 응용하면 된다. 최대, 최소를 구하는 알고리즘.. 2023. 1. 1. Python 응용문제 - 가위바위보 게임 만들기 파이썬의 random 모듈과 if문을 응용한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random 모듈을 import 하는 코드 import random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외부 코드를 가져다 쓰는 기능을 지원한다. 파이썬의 import, C/C++의 #include, 자바의 import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중 파이썬은 코드를 가져다 쓰기 편한 축에 속한다. 그 이유는 인터프리터 언어라는 파이썬의 특징과 관련이 있는데, 이 포스트에서 다루는 범위를 넘어가기 때문에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집어 치우고, 파이썬에서는 미리 작성돼 있는 외부 코드를 'import 모듈명' 문장을 통해 편하게 가져다 쓸 수 있다는 점만 기억하자. random 모듈에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편리한 기능의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다. 가장 자주 쓰이는.. 2022. 12. 31. Python 연습문제 (2022.12.22) 1. 문자열 변수 v_str에 임의의 문자열을 입력하고 다음 조건에 맞는 문자열을 출력한다. 1-1. 1번째와 3번째 문자열을 출력한다. 1-2. 4번째에서 8번째 까지의 문자열을 출력한다. 1-3. 맨 뒤 5개의 문자만 역순으로 출력한다. v_str = "kitri_st07" 1-1. print(v_str[0]) print(v_str[2]) 파이썬 문자열은 배열처럼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다. 여느 프로그래밍 언어가 그렇듯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즉 1번째 문자 -> 인덱스 0 3번째 문자 -> 인덱스 2 1-2. print(v_str[3:8]) 1-1에서 설명한 것처럼 4번째부터 8번째까지의 문자열은 인덱스 3부터 7까지를 의미한다. 파이썬 문자열은 사실상 문자('a', 'b', 'c', ...) .. 2022. 12.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