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3 패킷의 구조 Ethernet (링크 계층)TCP/IP 5계층의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이더넷은 mac 주소를 통해 송수신지를 식별한다. 이더넷 프레임 헤더는 Destination(6byte), Source(6byte), Type(2byte)로 총 14바이트 길이로 구성되며,구성은 아래와 같다. Destination MAC Address- 수신지(목적지)의 MAC 주소. Source MAC Address- 송신지(발신지)의 MAC 주소. Type- 이더넷 상위 계층의 데이터 타입.- 주요 Type별 코드 0800 : IP 86DD : IPv6 0806 : ARP 0835 : RARP +)사실 최종적으로 프레임은 헤더와 페이로드 외에 Preamble(8byte)과 FCS(4byte)가 추가.. 2023. 5. 7. 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 TCP/IP 4계층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의 기능중 하나는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이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이란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고, 순서대로 도착함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TCP의 동작 방식으로 Stop-and-Wait, Go-Back-N, Selcetive-Repeat가 있다. Stop - and - WaitSender가 패킷을 하나 보내고 대기한 뒤, 응답(ACK)을 수신하면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지난 포스트의 rdt 3.0이 정확히 Stop-and-Wait 방식으로 분류된다.https://debuggingworld.tistory.com/43 FSM으로 표현한 rdt전송 계층에서의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rdt)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FSM을 이용하여.. 2023. 4. 16. TCP의 기능 1.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데이터가 깨지지 않고 온전히 전달되어야 함. - 데이터가 목적지에서 순서대로 잘 결합되어야 함. 2. 흐름제어(flow Control)- 수신자가 송신자의 패킷 전송량을 조절한다. - 단위시간당 송신자의 패킷 전송량이 수신자의 처리량보다 많으면 수신 측에서 패킷을 모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송신자의 패킷 전송량을 조절해야 한다. - 흐름제어는 오늘날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수신 측의 장치 및 소프트웨어 성능이 송신측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기 때문. 따라서 일반적으로 보내는 패킷의 상한선을 조절하는 목적으로 쓰인다. 3. 다중화(Multiflexing)-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하는 다양한 메시지를 모두 TCP 형식에 맞추어 세그먼트로 변환하는 것. - .. 2023. 3.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