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P3 8-1. 빈 생명주기 콜백 (이론) 스프링 빈의 생성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다.객체 생성의존성 주입단, 생성자 주입 방식은 예외다. 객체 생성과 동시에 의존성 주입이 일어난다.생성자의 호출 시점을 생각해보면 당연한 이야기다. 스프링 빈은 객체가 생성된 후, 필요한 의존성을 모두 주입받은 다음에 자신의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의존성을 주입받기 전에 작업을 시작하면, 의도와 다르게 동작할 가능성이 높다. 다음 코드는 그 예시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NetworkClient 클래스는 setter를 통해 url을 주입받는다.스프링 빈을 주입받지는 않고, String 타입 객체를 외부에서 주입받을 뿐이다. 생성자 호출 시점에서 url을 바탕으로 연결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초기 작업을 수행한다. (connect(), call())public cl.. 2024. 5. 26. 17.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의 적용 지난 포스트까지 개발한 프로그램을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의 관점에서 보자면, 단일 책임 원칙(SRP), 의존관계 역전 원칙(DIP), 개방-폐쇄 원칙(OCP)를 적용할 수 있다. https://debuggingworld.tistory.com/80 3.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 지난 포스트에서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의 유연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위해서는 객체 지향의 다형성을 극대화하고, debuggingworld.tistory.com 단일 책임 원칙 - SRP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AppConfig 추가 이전까지, 클라이언트 객체는 직접 구현 객체를 생성 및 연.. 2023. 10. 25. 3.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 지난 포스트에서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의 유연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위해서는 객체 지향의 다형성을 극대화하고,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지켜야 한다. 지난 포스트에서 다형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이 포스트에서는 이어서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에 대해 정리한다. SOLID 클린 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정리한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이다. 각각의 원칙은 기존에 존재하였으나, 좋은 객체 지향 설계라는 목적 아래 모아놓은 것.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으며, 각 원칙의 앞 글자를 따서 SOLID라 한다.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OC.. 2023. 6.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