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Linux4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 3가지가 있다. 1. 네트워크 파일 편집 2. TUI (Text User Interface) 환경에서 편집 3. GUI (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편집 하나씩 살펴보자. 1. 네트워크 파일 편집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직접 편집하는 방법이다.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설정 파일의 위치는 centos 7 기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네트워크 장치명] 이다. 설정 파일의 위치는 시스템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찾아봐야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centos 7 기준으로 설명한다. 해당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IPAD.. 2023. 1. 18. 리눅스 기본 명령어(2) - 파일 관련 명령어 지난 글에 이어서 리눅스 기본 명령어를 조금 더 살펴본다. ln 링크 파일(심볼릭 링크)을 생성한다. 형태는 다음과 같다. # ln [옵션] 원본파일 링크파일 -s : soft link(심볼릭 링크) 생성 -f : 같은 이름의 링크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삭제하고 새로 생성 리눅스 링크파일은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로 나눌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길 바란다. 사실 하드 링크를 사용할 일은 그다지 없다. https://debuggingworld.tistory.com/13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리눅스는 어떤 파일에 대해 링크를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링크와는 개념이 조금 다른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에서 파일이 어떻게 저장되고 관리되는지 먼저 알 debu.. 2023. 1. 12. 리눅스 기본 명령어(1) -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Intro 서버 OS로 많이 쓰이는 리눅스는 보통 GU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눅스 환경에서의 작업은 대부분 커맨드 창에 명령어를 입력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리눅스를 이용하려면 리눅스 명령어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다만, 리눅스에는 정말 많은 명렁어와 기능이 있기 때문에, 명령어를 영어단어 외우듯 무턱대고 외워선 안된다. 자주 쓰는 명령어만 기억하고 다른 명령어들은 필요할 때마다 메뉴얼(document, 문서라고도 부름)을 찾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스트에서는 리눅스를 다룰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사실상 필수적으로 쓰이는 몇 가지 명령어를 정리해본다. 리눅스 명령어 입력 방식 리눅스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c.. 2023. 1. 10.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리눅스는 어떤 파일에 대해 링크를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링크와는 개념이 조금 다른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에서 파일이 어떻게 저장되고 관리되는지 먼저 알아보아야 한다. 파일 = 파일 정보 + 데이터 리눅스 파일은 파일 이름 등의 속성 정보와 실제 들어있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리눅스를 포함한 일반적인 OS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방식은 디스크에 저장된 원본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저장된 디스크 영역을 가리키던 파일 정보만 삭제하는 방식이다. 즉, 파일을 삭제한다고 해도 해당 원본 데이터는 디스크에 그대로 남아있으며, 디스크의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안다면 얼마든지 복원도 가능하다. 사실 이러한 특징은 보안 측면에서 매우 위험한 요인이.. 2023. 1.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