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11 로컬 DNS 서버의 동작 과정 시나리오 client가 local DNS 서버(Cache DNS 서버)에게 [www.itclass.co.kr]의 IP를 질의하였다. 이후 local DNS 서버가 client에게 IP를 응답하기 까지의 과정을 기술하라. 1. client가 local DNS server에 www.itclass.co.kr의 IP를 질의한다. 2. local DNS server는 자신의 캐시 파일에 www.itclass.co.kr의 IP가 있는지 검색한다. 2-1. 캐시에 www.itclass.co.kr의 IP가 있을 경우 client에게 www.itclass.co.kr의 IP를 응답한다. 2-2. 캐시에 www.itclass.co.kr의 IP가 없을 경우 루트 네임 서버에게 kr.의 IP를 질의한다. 3. 루트 네임 서버는.. 2023. 2. 15. 로컬 DNS 서버, 캐시 DNS 서버, 책임 DNS 서버 한 줄 정리 로컬 네임 서버 - 호스트가 직접 질의하는 네임 서버. 캐시 네임 서버 - 관리하는 하위 도메인 없이 루트 네임 서버에 대한 정보만들 가지고 있는 네임 서버. 책임 DNS 서버 - 직접 관리하는 하위 도메인이 있는 네임 서버. 로컬 네임 서버 호스트가 직접 질의하는 네임 서버. 가령, 호스트 A의 로컬 네임 서버를 x.121번으로 설정해놓으면, 호스트 A가 어떤 도메인 주소에 대한 IP주소를 얻고자 할 때 x.121번 호스트에게 질의한다. 호스트 A가 이 주소를 8.8.8.8번 컴퓨터에게 물어본다면? A의 로컬 네임 서버는 8.8.8.8라는 의미다. 로컬 네임 서버에는 각 사용자가 질의하는 도메인 주소에 대한 IP주소가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로컬 네임 서버에 해당 IP주소가 없더라도 문.. 2023. 2. 15. DNS (Domain Name Service) 한 줄 정리 DNS (Domain Name Service) - 도메인 주소(www.google.com 등)를 그에 대응하는 IP주소(172.217.175.228 등)로 변환해주는 서비스. (두 줄이라구요? 어쩌라구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google.com]과 같은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다. 하지만 사실 컴퓨터는 [www.google.com]과 같은 형태의 주소를 알아듣지 못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IP주소를 통해 서로를 식별하기 때문이다. 그럼 컴퓨터는 어떻게 문자열로 된 주소를 이용해 다른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일까? 이 때 사용되는 것이 DNS다. DNS가 무엇인지 이해하려면,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했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먼저 알.. 2023. 2. 15.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 3가지가 있다. 1. 네트워크 파일 편집 2. TUI (Text User Interface) 환경에서 편집 3. GUI (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편집 하나씩 살펴보자. 1. 네트워크 파일 편집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직접 편집하는 방법이다.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설정 파일의 위치는 centos 7 기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네트워크 장치명] 이다. 설정 파일의 위치는 시스템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찾아봐야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centos 7 기준으로 설명한다. 해당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IPAD.. 2023. 1. 18. 이전 1 2 3 다음